포켓머니 poketmoney

《던전 앤 파이터》(Dungeon & Fighter)는 네오플에서 제작하고 넥슨과 네이버에서 서비스하는 온라인 액션 RPG이다. 

2018년 5월 20일 현재, 전 세계적으로 6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가입되어 있다. 중국 텐센트가 2016년부터 10년간 계약으로 퍼블리싱중이다. 

2017년 중국 매출액은 1조 1,500억, 영업이익율은 92%로 1조 636억원이다. 

중국 동시접속자수가 500만명이상의 세계적 온라인 히트게임이다 




던전 앤 파이터 리그 규칙(6차 기준)[편집]

지존1 이상, 35레벨 이상 참가 가능

각성기 사용 불가 (각성기 사용 시 탈락)

소모품 (무색 큐브 조각, 영혼의 결정 제외), 올빼미 사용 불가

예선대회 진행 시에만 계약 시리즈 사용 가능

패키지 / 이벤트 크리쳐, 칭호(TCG, 국가대표 포함) 사용 불가, 에픽 아이템 사용 불가

시즌 2. ACT2 패치 이후 업 데이트 된 유니크 아이템 사용 불가 (고대던전 유니크, 55레벨 유니크) 그 외 모든 장비 사용 가능

일반, 상급, 상급 엠블렘 아바타만 사용 가능 (레어 / 이벤트 / 패키지 아바타 사용 불가) 단, 아바타에 장착하는 엠블렘은 제한 없이 모두 사용 가능.

강화 수치는 일괄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무기/방어구 모두)

대장전 : 남성 거너, 여성 거너같은 직업 출전불가

역대리그[편집]

고래밥 컵 1차 리그[편집]

2007년 8월 1일부터 9월 1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매주 수요일 밤 10시에 방송하였다.

서버 대항전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개인전 챔피언: 프레이 서버 King's (김남규, 스트리트파이터)

대장전 챔피언: 프레이 서버 야화 (안지환(스트리트파이터), 유나영(소환사), 정승혁(스핏파이어))

투니스컵 2차 리그[편집]

2007년 10월 30일부터 12월 18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매주 화요일 밤 10시에 방송하였다.

챔피언 방어전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1차때 허용하였던 레어아바타 사용이 금지되었다. 

개인전 챔피언: 안톤 서버 바라코 (김현도, 스트라이커)

대장전 챔피언: 카인 서버 지면군대 (장웅(스트라이커), 정준(스트리트파이터), 이선호(레인저))

신한은행컵 3차 리그[편집]

2008년 5월 16일부터 7월 18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매주 금요일 오후 4시 30분에 방송되었다.

경기 도중 대회에 참가한 선수가 상대방 선수에게 귓속말로 특정스킬을 쓰지 말라고 위협하여 승리를 거둔것이 밝혀져 논란이 되었다.[2] 

개인전 챔피언: 시로코 서버 초붕 (박정완,그래플러)

대장전 챔피언: 시로코 서버 방폭의 주범 (정시혁(스트리트파이터), 신현수(배틀메이지), 이상민(인파이터))

신한은행컵 4차 리그[편집]

2008년 9월 12일부터 11월 7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매주 금요일 오후 5시에 방송되었다.

던파리그 선수출신이 해설을 맡기 시작하였다.(정준, 정덕기) 

개인전 챔피언: 안톤 서버 바라코(김현도, 스트라이커)

대장전 챔피언: 대역죄인 (오수민(배틀메이지, 힐더), 김창원(그래플러, 카시야스), 유철규(웨펀마스터, 카인))

신한은행컵 5차 리그[편집]

2009년 1월 2일부터 2월 27까지 진행되었으며, 매주 금요일 오후 5시에 방송되었다.

챔피언 시드 쟁탈전 도입 

개인전 챔피언: 프레이 서버 시집(김현도, 스트라이커)

대장전 챔피언: 20:3 (이덕주(레인저, 시로코), 박진제(메카닉, 안톤), 유나영(소환사, 프레이))

G마켓컵 6차 리그[편집]

2009년 4월 14일부터 6월 7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매주 금요일 오후 5시에 방송되었다.

온게임넷 편성시간 문제로 인해 일부 선수의 경기[3] 가 편집되었다. 편집된 경기는 온게임넷 공식 홈페이지와 온게임넷 던파리그 카페에서 볼 수 있다. 

개인전 챔피언: 프레이 서버 시집(김현도, 스트라이커)

대장전 챔피언: 20:3 (이덕주(레인저, 오즈마), 박진제(메카닉, 안톤), 유나영(소환사, 프레이))

7차 리그 (산한은행컵 던전앤파이터 1차 챔피언십)[편집]

개인전 챔피언: 최재형, 엘리멘탈마스터

대장전 챔피언: 악마군단

코카콜라컵 8차 리그 (코카콜라컵 던전앤파이터 2차 챔피언십)[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소니 에릭슨 컵 던전앤파이터 9차 리그 (소니 에릭슨 컵 던전앤파이터 3차 챔피언십)[편집]

던파리그 최초로 중국인 선수 등장(신관첨정)

최초 양대(개인전,대장전)우승자 탄생 (권민우) 

대장전(우승: 고수, 준우승: 악마군단)

개인전(우승: 권민우, 준우승: 신철우

액션토너먼트 시즌1 2013 윈터[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액션토너먼트 시즌2 2013 섬머[편집]

 이 문단은 비어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액션토너먼트 시즌3 2013-14 윈터[편집]

온게임넷에서 마지막으로 중계한 리그

액션토너먼트 시즌4 2014 섬머[편집]

스포티비 게임즈에서 중계한 첫번째 시즌

우승 

개인전: 이현

단체전 : 악마군단

액션토너먼트 2015 윈터[편집]

정소림 캐스터의 복귀(사이퍼즈 부문 진행)

중계진[편집]

1차 ~ 3차 : 성승헌, 온상민, 김태집

4차 ~ 6차 : 성승헌, 정준, 정덕기

7차 ~10차 : 성승헌, 정준, 이준행

액션 토너먼트 시즌1 : 성승헌 , 정준

액션 토너먼트 2015 윈터 

던전앤파이터 : 성승헌 , 정준

사이퍼즈 : 정소림, 이준행, 오성균

논란[편집]

던전앤파이터 시스템 중 하나인 '스턱(stuck, 랜덤확률로 데미지를 맞지 않음)'으로 인해 경기 양상이 순식간에 바뀌거나 선수의 콤보가 끊어져, 매 대회마다 논란이 끊이질 않았다.

장비 자유와 엠블렘으로 인해 능력치 격차가 벌어지게 되어, 논란이 되었다.


네오플

검색하러 가기


주식회사 네오플

Neople

산업 분야 

온라인게임 개발 및 서비스 

창립 

2001년 4월 

국가 

 대한민국 

본사 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3198-8 (노형동) 

핵심 인물 

김명현 (대표이사) 

제품 

던전앤파이터

사이퍼즈

프로야구2K14 

자본금 

181,066,000원 (2015.12) 

매출액 

677,350,847,596원 (2015) 

영업이익 

530,847,700,729원 (2015) 

순이익 

479,177,467,370원 (2015) 

자산총액 

767,156,615,207원 (2015.12) 

주요 주주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100% 

모기업 

넥슨코리아 

종업원 

528명 (2015.12) 

웹사이트 

네오플 기업 소개 사이트 

네오플은 'We make wonders'라는 모토 아래 캐주얼 게임 ‘캔디바’를 시작으로 던전앤파이터, 사이퍼즈 등 인기 게임을 연이어 개발한 게임 개발사다. 2008년 넥슨 컴퍼니로 편입됐으며, 게임의 서비스 영역을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중화민국 등으로 확대, 그 결과 현재 매출의 절반 이상을 해외에서 거둬들이고 있다. 특히, 이중 ‘던전앤파이터’는 세계 회원수 4억 명, 국내 동시접속자수 29만 명, 중국 최고 동시접속자수 300만 명을 기록할 만큼 국내외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으며, 2007년 ‘대한민국게임대상’ 우수상 및 인기상, 2009년, 2010년 2년 연속 ‘중국온라인게임대상’ 황금깃털상을 수상하는 등 작품성 면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다. 네오플은 현재 신규 FPS게임 ‘공각기동대 온라인(가칭)’을 개발 중에 있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